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순매원 매화축제

여행

by 자유를 꿈꾸며 2016. 3. 21. 23:27

본문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낙동강에 봄이 오면 양산 원동마을에 매화바람이 분다. 이파리도 피우기 전 메마르고 가녀린 나뭇가지를 뚫고 버선목처럼 희게 피어나는 매화. 육지의 봄을 알리는 전령사다. 매화가 절정을 이루는 시기는 3월 중순 무렵. 강변에서부터 피어나기 시작한 매화가 산등성이까지 흰 구름 두른 백색 꽃대궐을 차린다. 영랑 시인의 시처럼 “오메, 매화물 들것네”라는 탄성이 절로 터진다. 봄을 시각이 아니라 심장으로 느끼려면 가슴에 매화를 담아야 한다. 부산역을 목전에 둔 경부선 원동역. 무궁화호가 정차한 조용한 시골역이 사람들로 북적인다. 카메라를 든 사람, 등산복 차림의 산행객 등등 저마다 복장은 달라도 원동마을에 온 목적은 한 가지다. 순매원의 매화를 보기 위해서다.

원동역 뒤로 이어진 길을 따라 올라가니 이내 무리의 매화가 하얀 꽃을 피운다. 순간 순매원에 도착했다고 착각한다. 매화나무 사이로 난 길을 걸어가니 곧 길이 사라져버린다. 순매원이 아닌 것이다. 다시 길을 따라 걷는다. 5분이나 걸었을까. 사진 촬영하기 좋은 곳이란 팻말과 함께 전망대가 나온다. 사진을 찍기 위해 자리를 잡고 있는 이들이 여럿이다.

전망대 아래로 순매원이 펼쳐진다. 농원 옆으로 기찻길과 낙동강이 나란히 달린다. 그제야 사진작가들이 왜 카메라를 들고 기다리는지 알게 된다. 매화, 강, 기차가 어우러진 특별한 풍경을 담기 위해서다. 낙동강 유장한 물길과 하얗게 핀 매화, 그리고 그 사이를 질주하는 기차의 역동적인 모습을 한 앵글에 담을 수 있는 곳은 순매원밖에 없다.

기찻길 옆에서 봄을 피우는 매화는 훨씬 서정적이다. 낙동강과 붙어 있어 강의 서정성이 더욱 강하게 와 닿고, 철로를 따라 기차가 지날 때마다 봄소식을 전해주는 듯하다. 기차가 지나는 순간을 카메라에 담으려면 셔터 속도가 중요하다. 빠르게 달리는 기차를 순간적으로 촬영하려면 1/1000s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 야경이나 일몰 때 열차의 움직임에 중점을 둔다면 노출시간을 길게 해야 한다.

전망대에서 농원으로 내려가는 계단이 있다. 그렇지만 순매원 정문은 아니다. 정문으로 들어가려면 도로를 따라 더 걸어야 한다. 매화를 보며 걷는 길이기에 힘들지 않다. 천천히 걸으며 매, 철길, 강물이 펼쳐내는 그림을 가슴에 담는다.

순매원은 양산에서 규모가 꽤 큰 매실농원이다. 광양 매화마을이나 해남 보해매실농원을 가 본 이들에게는 무척 작게 느껴질 테지만. 넓지 않으니 가벼운 걸음으로 둘러보기에 적당하다. 아기자기한 맛도 훨씬 좋다. 입구에 발을 들이니 매화나무 아래 크고 작은 항아리들이 줄맞춰 서 있다. 장을 담가놓은 항아리는 아니다. 여행객을 위한 관상용이다. 장을 담가둔 항아리는 별도로 보관한다. 그래도 시각적인 효과도 좋다. 매화나무로 부족한 부분을 항아리가 채워 멋진 조화를 이룬다. 농원의 중요한 소득원인 매실을 따서 원액을 만드는 탓에 항아리는 매실농원과 뗄 수 없는 단짝친구다. 

농원으로 들어가 매화나무 아래로 걸음을 옮긴다. 백매화, 홍매화가 천상의 화원인 양 아름답다. 멀리서 바라볼 때도 매력 있지만 천천히 걸으며 매화 송이를 곁에 두니 더욱 매혹적이다. 몸 구석구석 그윽한 향기가 퍼진다. 꽃구름처럼 황홀한 자태도, 가슴 깊이 스며드는 향이 더해지니 비로소 빛이 난다. 강바람이 실어다준 매화향이 코끝에 와 닿으니 고혹적인 향기에 온몸이 아찔해진다.

카메라가 잠시도 쉴 틈이 없다. 여기다 싶어 사진을 찍고 나서 한 걸음 옮기니 예쁜 꽃이 유혹한다. 때로는 여러 그루를 앵글에 담고, 때로는 탐스런 꽃을 클로즈업해서 담는다. 그렇게 매화나무 아래서는 시간 가는 줄 모른다.

순매원을 한 바퀴 돌았다고 여행이 끝나지 않는다. 매화 아래서 국수 한 그릇, 막걸리 한 사발에 파전 한 조각으로 봄날의 정취를 즐겨야 한다. 즉석에서 구워낸 노릇노릇한 파전, 고명과 함께 양푼에 말아 내는 국수는 순매원에 들르면 꼭 먹어야 할 정도로 인기 있는 메뉴다. 옛 선비들은 매화를 보고 시를 읊으며 풍경을 즐겼지만, 상춘객은 매화나무 아래서 국수로 출출한 뱃속을 달래며 매화를 즐긴다. 방식이야 어떻든 매화를 즐기기는 매한가지다.

매화나무 아래 앉아 국수를 먹는데 꽃잎이 바람에 흩날린다. 꽃비가 내린다. 마치 영화 <웰컴 투 동막골>의 팝콘 장면 속에 들어온 기분이다. 순간적으로 꽃잎 외의 모든 세상은 정지한다. 오로지 바람에 날리는 꽃잎과 그 속의 나만 있을 뿐이다. 기막힌 광경이다. 보들레르의 시에 나온 “우리들을 비참한 일상으로부터 해방시켜줄 이 알 수 없는 열병”이 여행이라는 것을 실감한다. 매화가 우리 곁에 머무는 시간은 보름 남짓. 부지런히 움직여야 매화를 탐할 수 있다. 봄이 매화를 만들고, 매화가 다시 봄을 알리는 아름다운 현장으로 내달리는 게 눈도 코도 만족하는 후회 없는 봄마중이다.

제공처
한국관광공사 http://korean.visitkorea.or.kr 한국관광공사
글, 사진
오주환 | 여행작가
 

 

양산 순매원 매화축제에 다녀왔어요.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열리는데 강변옆으로 피어있는 매화가 마음의 여유를 갖게 하였고, 기찻길옆의 마을이 정겹게 느껴지는 풍경이었습니다.

 

     블로그와 함께 일주일에 한번 정도 유튜브 강의를 올릴 예정이니

     인터넷 쇼핑몰 창업에 관심 있는 분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https://youtu.be/ACuhyb540-c


 

   위의 유튜브를 보시면 최근에 올린 강의를 보실 수 있습니다.

   처음 올린거라서 많이 부족하니 이해 좀 해주시구요~^^

   블로그와 함께 유튜브도 일주일에 한번 정도는 인터넷 창업 준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올려 보려고 합니다. 부지런해야 가능할 듯 합니다만...^^



   글쓴이에게 용기를 주는 공감 부탁드려요~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소주(쑤저우) 여행  (0) 2016.03.29
창녕 우포늪  (0) 2016.03.26
중국 배낭여행  (0) 2016.03.25
중국 항주 여행-2  (0) 2016.03.24
중국 항주 여행-1  (0) 2016.03.23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